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17-11-02 18:18:17
세계탈문화예술연맹, 라오스 총회 폐회
비전 선언문 제안···탈문화의 미래 가치 공유
 

지난 10월 31일부터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개최된 2017세계탈문화예술연맹 총회 및 학술대회가 11월 2일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의 차기 개최지를 발표하는 총회를 끝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2006년 설립된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은 세계 유일의 탈 관련 유네스코 인가 NGO 단체로 창립 이후 2년 마다 우수한 탈문화를 보유한 국가와 공동으로 총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9년 태국 방콕, 2011년 인도네시아 싱가라자, 2013년 부탄 팀부, 2015년 중국 상해, 2017년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여섯 번째 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총회를 통해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은 라오스 총회 선언문을 통해 앞으로의 활동 방안과 국제 사회의 관심을 확보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마코가 제안한 선언문은 앞으로 유네스코 NGO 단체인 이마코의 지속적인 탈 관련 국제 교류 사업을 통해 각 국가의 이해와 의견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선언문에는 지난 2006년 창립 이후 다양한 사업을 통해 세계보편문화 탈과 탈문화가 가진 세계적 문화 가치를 함께 공유했던 이마코의 방향성과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가치 보존이라는 문화 관련 중점 사항을 종합해 비전 선언문에 담았다.

아울러 이마코는 탈과 탈문화 가진 문화적 보편성, 현대 사회 속에서 탈과 탈문화가 가진 창작의 가능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지고 소비되고 있는 탈과 탈문화의 미래적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이를 세계의 탈문화 관련 학자들과 함께 공유하고자 했다.

또한, 전 세계 많은 문화 자산 가운데 '탈'을 매개로 인간이 이뤄내고자 했던 신앙과 희망, 예술 그리고 미래의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과 '탈문화'가 인류의 평화와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특히 이 선언에는 무엇보다 탈과 탈문화의 지속적인 연구와 소통을 통한 탈문화 아카이빙, 사라져 가는 탈과 탈문화 보전과 활성화, 탈과 탈문화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화 가능성에 대한 공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마코는 이 선언문 제안을 통해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의 활동과 가치를 함께 공유하고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에 입각한 지속적인 활동과 문화 교류 강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세계 유일의 탈 관련 유네스코 인가 NGO 단체인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은 이번 2017세계탈문화예술연맹 라오스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로 한국과 라오스 양국의 우호 증진은 물론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의 회장 도시인 안동문화의 세계화라는 큰 성과를 이뤘다.

앞으로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은 지속적인 탈과 탈문화 관련 학술대회와 문화교류 행사를 통해 탈과 탈문화가 가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함께 공유하고 적극적인 문화 소비의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총회에서 선정된 차기 개최지 '필리핀 바콜로드' 시의 마스카라 탈과 마스카라 축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탈문화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다.

               <관련사진>

 
 
 
 

  2017-11-02 18:18:17 / 피현진 기자(mycart@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동 '마' 수확 체험하고 안동 둘러보기 안동농업기술센터 '마' 홍보와 6차산업화 진단 경북기록문화연구원, 기록 활동가 양성 경북 시민아키비스트 양성 아카데미 교육생 모집 세계탈문화예술연맹, 라오스 총회 폐회 비전 선언문 제안···탈문화의 미래 가치 공유 제54회 경북학생체전, 안동서 카누경기 개최 중·고 남·여 30여명의 선수들 출전 기량 겨뤄 2017도청신도시 둘레길 걷기대회 도청신도시 둘레길을 밟으며 가을정취 만끽

얀스튜디오
아기사진 전문 - 얀스튜디오
안동시 남문동 189-13
TEL. 054-857-7674, H.P. 017-534-7674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89535 39011428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