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안동예천지역위원회(위원장 김위한)가 2월 24일 대구지방검찰청 안동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검찰의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규탄했다.
김위한 지역위원장을 비롯해 정복순, 김순중, 김새롬, 김정림 안동시의원과 이동화 예천군의원 등 당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위한 위원장은 "곽상도 의원을 비롯한 50억 클럽과 김건희 주가조작 사건은 부실수사로 일관한 검찰이 제1 야당대표는 탈탈 털다 구속영장까지 청구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에는 역술인 천공이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방문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의 자택을 군 수사기관을 동원해 압수수색했다"며 "이것이 공정과 상식인가"며 성토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자살율 낮추겠다고 번개탄 금지하고 쌀값 안정시키겠다며 우량품종 심지 말라는 정권이 교통사고 줄이겠다며 자동차 생산을 줄일까 겁이 날 지경"이라며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이어 "무능한 검사출신 대통령과 무도한 검사출신 공직자들이 선진 복지국가 대한민국을 파탄내고 있다"며 "정적제거와 야당탄압을 중단하고 긴급한 민생을 살리는데 집중하라"고 촉구했다.
성 명 서 <전문>
윤석열 검찰에게 엄중히 경고한다!
윤석열 정권의 검찰독재 규탄한다!
검찰이 지배하는 나라!
오늘 우리는 검찰공화국으로 변질되어 버린 작금의 대한민국 현실에 대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무능한 검사 출신 대통령과 무도한 검사 출신 공직자들이 선진복지 대한민국을 파탄 내며 질곡의 나락으로 몰아가고 있다.
세계 선진국들과 어깨를 견주던 선진복지 대한민국은 어디로 사라지고, 자고 일어나니 하루아침에 검찰독재정권 후진국으로 후퇴하여 버렸는가?
윤석열 정권의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여당은 오로지 정적 이재명 제거에만 혈안이 되었다.
275회의 압수수색과 무뢰한 검찰발 언론기사로 이재명을 악마화하는데만 몰두하고 있다.
무뢰한 검찰은 이재명 대표를 대상으로 집요한 압수수색을 벌였지만 뚜렷한 증거가 나오지 않자, 과거 성남시정 하나하나까지 모조리 파헤치며 티끌만한 먼지 하나라도 건지겠다며 과도하게 권력남용을 자행하고 있다.
50억 받은 곽상도는 무죄이고, 50억 클럽 수사는 뒷전이다.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수사도 뒷전이다.
증거가 차고도 넘치는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사건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묻고 싶다.
민주주의가 억압받던 군사독재시절에도 이처럼 저열하고 치졸한 만행은 없었다.
이게 공정한가? 상식적인가? 묻고 싶다.
검찰은 스스로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일국의 국가가 이래서야 되겠나? 이게 나라인가?
챙기라는 민생은 안 챙기고 오로지 이재명을 제거하는 데만 힘을 쓰니 국정운영은 엉망진창이 되고 있다.
윤석열 정권의 민생대책을 바라보면 너무나 어처구니가 없을 뿐이다.
자살율을 낮추겠다고 번개탄 생산을 금지하겠단다.
교통사고를 줄이겠다며 자동차 생산을 줄일까봐 겁이 날 지경이다.
100만원짜리 서민 긴급생계대출에 이자를 15.9%나 부과하겠단다.
언제부터 고리대금정부가 되었는가?
공기업 살리겠다며 난방비를 올려 민생을 파탄내는 정권, 쌀값 안정시키겠다며 우량품종의 벼를 외면하는 정권, 이들의 탁상행정에 코가 막히고 기가 막힐 지경이다.
국정이 장난인가? 민생이 장난인가? 국민이 무섭지 않은가?
이에 우리는 윤석열 정권의 대통령실과 검찰이 대통령과 영부인 변호에만 몰두하며, 오로지 정적 이재명을 제거하고 야당을 말살시키려는 모든 책동에 대해 강력히 규탄 의사를 전달하는 바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안동예천 지역위원회'는 검찰공화국 윤석열정권의 무능함과 무뢰한 검찰의 도를 넘은 파렴치함을 강력히 규탄하고자 한다!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이런 정권과 무뢰한 검찰을 보고만 있는 것이야말로 배임이다.
도탄에 빠진 민생을 외면한 검찰공화국에 대해 민주세력의 강력한 견제와 비판없이 이대로 질주한다면 그 댓가는 참혹할 것이며 온전히 국민들이 피땀으로 복구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의 주권자인 국민모두가 분노하고 있음을 인정하라!
윤석열 정권은 즉시 무뢰한 검찰독재를 중지하라!
윤석열 정권은 즉시 야당 탄압을 중지하라!
윤석열 정권은 즉시 긴급한 민생을 살려내라!
2023년 2월 24일
더불어민주당 안동예천지역위원회
2023-02-24 14:59:49 /
김태동 기자(tdongk@ugn.kr)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