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매미의 피해 및 방제대책 ① 꽃매미(Lycorma delicatula)란?
○ 곤충 분류상 꽃매미과에 속하는 해충으로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에 분포, 중국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79년 '한국동식물도감'에 기록되어 있지만 그동안 발견이 되지 않다가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겨울철 기온상승으로 ‘05년 발생확인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임
○ 산림에서 서식하다가 최근 발생이 증가하면서 포도, 대추, 배, 복숭아, 사과, 매실, 감, 자두, 살구 등의 과수에 피해를 주고 있음
② 국내 발생현황
○ 2005~2006년 관악산, 청주, 천안 등의 가죽나무에서 발생 확인
○ 2007년부터 산림에서 인근 포도밭에 내려와 피해를 주고 있음
- 발생면적 : (2006) 1ha → (2007) 7ha → (2008) 91 → (2009) 2,765(포도)
※ 발생지역 : 5도 20시군(경기 8-김포, 안성, 가평 등, 강원 1-원주, 충북 2-청원, 청주, 충남 5-천안, 아산, 연기 등, 경북 4-영천, 경산 등)
<발생생태>
연 1회 발생하며 알 상태로 월동하여 5월 상중순에 깨어 나와 4회의 탈피로 1~4령 약충기를 거쳐 7월 중순부터 11월 상순까지 성충으로 활동하며 과수의 수액을 빨아 피해를 줌. ⓞ 10월경 찬바람이 불면 산란을 시작하는데 덩어리 형태로 30~40개씩 무더기로 1마리가 400~500여개를 산란하고 성충은 죽음 ※ 지상 80~180cm 높이 나무줄기의 북쪽면에 산란. |
③ 패해를 주는 식물
○ 먹이식물 : 41종(목본 38, 초본 3), 산림청 조사자료(피해정도)
- 매우심 : 포도, 머루, 담쟁이덩굴, 대추, 가죽나무, 참죽나무 등
- 심 : 참다래, 붉나무, 두릅나무, 땃두릅나무, 자작나무 등
- 중 : 옻나무, 우엉, 갈참나무, 일본목련, 뽕나무, 딸기나무, 때죽나무 등
* 과수는 포도, 머루, 대추 등을 좋아하며, 사과, 배, 복숭아, 매실, 자두, 살구, 감, 밤나무 등
<피해증상>
생육기에 약충이 긴 입을 나무줄기에 꽂아 수액을 빨아서 생장을 저해하고 피해가 심한 줄기는 말라 죽음 ⓞ 수확기에는 성충의 배설물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잎의 광합성 능력을 저하시키고 품질을 떨어뜨리며 심하면 곰팡이 발생 ※ 이동거리 : 약충은 50~60㎝를 뛰어 이동하며, 성충은 주로 야간에 인근 산림에서 포도 등 과수원으로 이동함 |
④ 방제대책
○ 화학적 방제 - 1~3령 약충기인 5월 상순~6월 중순에 1차 방제하고 6월 중순 이후 예찰하여 발생 시 추가방제, 포도 수확 후 꽃매미가 산란하기 전 방제하여 성충을 죽임, 과수원 및 인근야산 항공방제 - 직권등록(포도) : 스미치온, 메프치온, 스토네트 등
※ 포도수확 7일전까지 3회 이내 사용가능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아타라) 조기등록(현재 안전시험 중이라 7월하순경 시험완료 후 등록)
○ 물리적 방제 - 포도 등 과수원에 그물망(1×1cm) 설치로 성충유입 차단 - 포장과 야산 사이에 비닐, 천, 아크릴 등을 이용한 차단막 설치 - 약충기에 나무밑둥 50~100cm 부근에 끈끈이트랩을 설치 - 월동기에 나무껍질을 벗겨 알 덩어리를 제거하여 태움 - 포장 인근 야산에 서식하는 가죽나무 등 기주식물 제거
< 꽃매미 관련 사진 > ○ 각 생태별 모습
 |
( 포도나무 산란 알) (3령 약충) (4령 약충) (성 충) |
○ 가죽나무 가해 성충 및 포도 피해양상

※ 최근 문제해충 꽃매미의 친환경적 방제요령
동절기 및 발생초기 * 제 1 단계 : 포장 인근 야산에 서식하는 기주식물 제거
- 약충의 부화시기가 달라 효과적인 방제가 곤란하므로 약충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에 약제방제를 1~2주간격으로 2-3회 살포: 5월 상순~6월 중순
작물재배 시기 및 주발생기
* 제 2단계 : 포장과 야산 사이에 차단망 설치
- 비닐막, 천, 그물망, 끈끈이막 등의 차단 시설
- 7월 중순이후 인근야산으로부터 이동해오는 성충 방제를 위하여 야산 주변 및 포도원 주변에 차단망 설치
- 차단망은 꽃매미 성충의 비산 거리 등을 고려하여 2~3m 높이로 설치
- 차단망은 조류 피해방지와 꽃매미 성충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도록 포도원상에도 설치
* 제 3 단계 : 콘트랩, 밴드형 트랩 등 물리적 방제 실시
- 농진청, 꽃매미방제전략연구팀에서 개발한 친환경적 꽃매미 방제 트랩 보급 예정
방제 실패 시 및 수확후기
* 제 4 단계(최종) : 스미치온, 메프치온, 스타네트 등 대상 작물에 등록된 약제를 중심으로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화학적 방제 실시
- 과일(포도) 수확 후에도 차년도 밀도억제를 위하여 꽃매미 성충 생존시기인 11월 까지는 지속적 방제 필요
2009-07-28 17:07:38 /
농업기술센터(lyd1237@korea.kr)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