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심장부를 겨누다!
선생은 평남 강서(江西) 출신으로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후에 기독교계 학교의 교사를 지내다가 서울에 올라와 광성연초공사(廣城煙草公司)에서 일했다.
항시 비행사가 되기를 희망하던 중 1920년 6월 봉천지점으로 전근 후 공사 감시원 송동휘(宋東輝)와 공모하고 비행학교가 있는 광동학교로 갔으나, 당시 중국은 내란 중이었기에 비행학교가 폐교돼 뜻을 이루지 못하고 다시 상해로 돌아왔다.
그 후 그는 이정룡(李正龍)과 같이 서양인 구이르드가 경영하는 전차회사의 전차감독이 되면서 북경으로 가서 의열단장(義烈團長) 김원봉(金元鳳)을 만나는 한편 동단에 입단했다.
그리고 곧 조선총독 재등실(齋藤實)을 처단하기로 계획하고 폭탄 2개와 권총 두 자루를 받아 1921년 9월 10일 북경을 떠나 동월 11일에 서울에 도착 다음날인 12일에 전기수리공으로 가장해 총독부에 잠입, 폭탄 2개를 투척하였으나 1개는 불발되고 하나만 폭발했다.
거사 직후 피신하여 평양에 수일간 체류하다가 북경으로 돌아간 그는 총독부 투탄 거사가 성과를 보지 못하자 재거할 것을 결심하고, 의열단장 김원봉과 상의한 후 1922년 2월 상해로 가서 동지 오성륜(吳成崙)과 함께 같은달 28일 오후 3시 30분경 상해 세관부두에서 필리핀으로부터 상해에 도착하는 일본 전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田中 義一) 육군대장을 향해 오성륜이 먼저 권총을 발사하였으나 명중되지 않았고, 폭탄을 던지고 이어 육혈포를 연사했지만 안타깝게도 폭탄은 불발되고 탄환도 다나카에게 맞지 않았다.
그 후 중국 항무국(港務局) 경찰서에서 취조를 받고 일본영사관에 인도되었다가 일본 장기지방재판소(長岐地方裁判所)로 압송됐다. 이때 동지 오성륜은 파옥․탈주했고, 그는 1922년 5월5일 장기(長岐) 형무소로 압송됐다.
1922년 5월 19일 개정된 장기지방재판소에서 재판장은 그에게 "네가 중국순경에게 총을 쏜 것은 그를 죽일 목적으로 쏜 것이 아니냐"하고 묻자, 그는 냉소를 지으며 "우리가 아무 관계없는 중국인을 죽일 필요는 없고 오직 위협하기 위하여 쏜 것이요, 만약 다나카(田中)에게 쏘았다면 그야 물론 죽이려고 쏜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때 장기(長岐)의 각 신문들은 그의 담대한 행동을 대서특필했고, 도처에 큰 화젯거리가 되었다고 한다.
지방재판소에서는 무기형이 언도되었으나 장기공소원(長岐控訴院)에서는 재판장 이삼(伊森)이 사형을 언도하자 의자를 들어 이삼을 치고 큰소리로 "일본은 반드시 망할 것이요, 조국 대한은 꼭 독립이 된다"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삼창한 후에 수감되었다. 장기형무소 편연지소에 수감 중 1924년 1월 무기형으로 감형되었으나 얼마후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2010-06-04 14:49:39 /
권달우 기자(dalu80@ugn.kr)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