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14-01-27 13:27:40
안동시 친환경적이고 정예화된 축산업 육성
축산업 경쟁력 확대로 안정적인 축산업을 육성
 

안동시가 올해 축산행정 방향을 보다 친환경적이고 정예화 된 산업으로 육성한다.

안동시에 따르면 그동안 무분별한 축산 행태로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축산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비효율적 측면을 개선해 국내·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축산환경을 슬기롭게 대처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올해 시가 중점을 두는 축산정책은 다섯 가지. 동물복지 확대를 통한 친환경 축산물 생산을 확대하고 한우번식기반 구축, 안동한우·참마돼지 명품브랜드 육성, 가축방역 시스템 구축, 조사료 생산여건 개선 등 이다. 이를 통해 안동 축산업의 경쟁력을 확대해 안정적인 축산업을 육성해 나간다.

반려동물에 국한된 것으로 인식된 동물복지를 경제동물까지 확대하기 위해 축사환경개선에 1억5천만 원을 투입한다. 또 가축송풍기와 퇴비운반 장비에 1억6천6백만 원을 지원하고 분뇨처리시설개선에 12억 원, 양계농가 환경개선에도 1억5천7백만 원을 지원해 동물복지를 통한 친환경 축산물 생산으로 축산 경쟁력을 높여 갈 계획이다.

구제역 매몰이후 우수 형질의 한우암소기반 재건에도 적극 투자한다. 한우번식기반 구축사업으로 1억2천만 원을 들여 번식우 농가에 인공포유기와 자동급이시스템을 지원해 브랜드 안동한우의 새로운 기반을 다진다.

안동한우와 안동참마돼지를 명품브랜드로 육성하고 안동한우 불고기축제와 한우홍보사절 선발, 지속적인 안동축산물 브랜드 홍보, 축산물작업장 시설물 개보수에도 3억6천만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해 소비자가 신뢰하는 안동 브랜드축산물 소비확산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다.

가축방역을 위해서도 심혈을 기울인다. 완벽한 가축방역을 위해 1억8천7백만 원을 들여 소 부루셀라병 예방접종에 나선다. 도 전염병차단 방역 장비지원에도 2억2천6백만 원을 지원하는 등 각종 예방접종에 7억8천2백만 원을 지원해 가축전염병 차단으로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철저히 예방한다.

조사료 생산을 통해 친환경 축산 및 축산농가 생산비 절감에 나선다. 근본적으로 열악한 조사료생산 여건 개선을 위해 유휴지활용, 동절기 조사료 생산 확대, 친환경조사료생산단지조성, 조사료생산장비지원 등 사료작물 재배 이용 확대를 위해 총 15억5천6백만 원을 지원해 생산비절감을 통한 축산농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 밖에도 양돈농가 액비를 활용한 자연순환농업 활성화를 위해 액비살포차량과 간이저장탱크설치, 살포용장비지원 등 2억7천5백만 원의 사업비를 투자한다. 이를 통해 경종농가, 과수농가 등에 양질의 축분 비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생산비를 절감시켜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농산물 생산하는 등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양하겠다는 것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최근 한-미, 한-중 FTA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 농가들이 생산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늘여 갈 것."이라고 밝혔다.

  2014-01-27 13:27:40 / 피현진 기자(mycart@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림으로 보건사업 홍보를 한 눈에 안동시 보건소에 생애주기별 벽화 있다. 안동시 디지털운행기록장치 의무 장착 보조금 지원사업 올해 6월말까지 연장 안동시 친환경적이고 정예화된 축산업 육성 축산업 경쟁력 확대로 안정적인 축산업을 육성 이숙희 시의원 경상북도 의정봉사대상 수상 다양한 봉사와 창의적이고 모범적인 의정활동 펼쳐 안동시 설맞이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 가져 제수용품과 선물은 저렴한 전통시장에서

안동대가찜닭
♣전국배달가능 / 기술전수♣
경북 안동시 서부동 182-6번지☎054)856-7888, 010-2063-7880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18314 39240078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