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14-07-28 11:46:47
안동 '봉정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본격 추진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 등재 추진위원회 발족
 

안동 봉정사를 포함한 전국의 7개 사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된다.

안동시에 따르면 안동 봉정사를 비롯한 영주 부석사, 양산 통도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등 한국의 전통산사 7개가 지난해 12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이름을 올린 이후 몇 차례에 걸친 준비회의와 사무국을 설립한 후 오는 8월 6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발족식을 시작으로 본격 준비에 들어간다.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발족식에는 나선화 문화재청장을 비롯해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 등재 대상 사찰이 소재한 5개 광역단체장과 7개 자치단체장, 7개 전통산사 주지스님 등이 참석해 등재를 위한 협약을 맺는다.

발족식 이후에는 세계유산 등재 업무를 전담할 사무국을 중심으로 등재를 위한 연구와 조사, 학술회의, 세계유사유산 비교연구 등을 통해 한국의 전통산사가 지닌 세계유산적 가치를 정립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를 집대성하는 등재신청서의 작성은 2016년 말까지 완료하고 2017년 세계유산위원회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하면 같은 해 유네스코로부터 위임 받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전문가 실사를 거쳐 이듬해인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되게 된다.

한편 한국의 전통산사는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를 바탕으로 중국과 동아시아적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한국만의 독창적인 선·교 융합의 통불교적사상(종파와 사상에 관계없이 모두가 성불의 길로 회통한다는 사상)을 오늘날까지 유지 계승하고 있다.

하늘과 땅과 사람(天地人)을 일체로 하는 자연경관에 전통건축의 아름다움을 융합한 한국전통 건축미의 전형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 한국의 전통산사는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문화재보호법의 보호 아래 건축물이나 지형을 잘 보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입지의 배경이 된 산세와 계곡과도 조화를 이루며 신인합일(神人合一)의 가치를 지켜오고 있다.

특히 불교 회화작품, 석조물, 불상 등을 통해 시대적 층위와 특징을 다양한 형태의 유산으로 보존하고 있어 전세계 인류가 공동으로 지켜가야 할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안동시에서는 2010년 하회마을 세계유산 등재에 이어 2016년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다. 2018년 봉정사가 세계유산에 등재 되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만 안동을 대표하는 하회마을, 도산서원·병산서원, 봉정사까지 등재하게 되는 쾌거를 올리게 된다.

또한,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하고 있는 '유교책판'이 2015년에 세계기록유산등재를 앞두고 있으며,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인류무형유산에 등재 되게 되면 유네스코 주도하에 있는 3대 카테고리(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유산)를 완벽하게 보유하게 되는 세계 최초의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4-07-28 11:46:47 / 피현진 기자(mycart@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나는 여름! 드림스타트와 함께 안동시 하하호호 드림여름학교 개강 경상북도청소년진흥원 '인터넷치유학교' 운영 인터넷과다 청소년을 위한 기숙형 캠프 프로그램 안동 '봉정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본격 추진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 등재 추진위원회 발족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교원직무연수 실시 한국독립운동과 의열투쟁 주제, 근현대사 가치관 정립 안동지역 초등학생 대상 발명교육 실시 안동지식재산센터 '방과후N 발명스쿨' 개최

얀스튜디오
아기사진 전문 - 얀스튜디오
안동시 남문동 189-13
TEL. 054-857-7674, H.P. 017-534-7674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92845 39219974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