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민속박물관은 2014년도 두번째 기획전 '복, 일상 속에 담긴 이야기'를 9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안동민속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도구들을 중심으로 그 속에 담겨진 다양한 복과 관련된 염원과 상징들을 대해 살펴보고 복의 의미와 함께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부적 명함·책갈피 만들기와 복 문양 손수건 만들기, 에코가방 부적 판화 만들기 체험행사와 설경족자·띠족자·오방 실크주머니 판매행사 등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
복은 흔히 '아주 좋은 운수' 또는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이라는 뜻으로 풀이 된다. 이 복은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의식에 너무나도 밀착되어 있어 오히려 인식하기 어려웠고 지금까지 별로 인식하려 하지도 않았던 것이다. 늘 가까이 있기 때문에 보지 못하고 언제나 더불어 있기 때문에 잊어버리고 있는 것이 복을 비는 마음이다.
한편, 안동민속박물관의 작은 전시회 '우리집 보물'전이 연중 계속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집 보물'전은 각 가정의 삶 속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전시회로 개인의 집에서 소장하고 있는 오래된 골동품과 근대 생활용품, 가족만의 특별한 스토리가 있는 물건, 특별한 의미가 있는 물건 등을 공모해 선정된 물건을 전시하는 행사다.
전시구성
? 1부 기 - 바라다.
- 복을 바라는 지극한 마음을 때로 신앙이 되기도 했다. 복 신앙과 관련된 유물을 소개한다.
-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느껴보는 영상 소개
? 2부 생활 속 복 이야기
? 의-입다
- 옛 우리 조상들은 복을 바라는 마음을 바늘에 꿰어 옷을 지었고, 다양한 장신구로 가족들의 수복강녕을 기원했다.
- 전통사회의 복식문화 속에 담긴 복식 유물과 그것에 담긴 상징과 의미 소개
? 식-먹다
- 식생활 속 도구와 가구 등에 담긴 문양이나 의미
? 주-꾸미다.
- 장롱이나 반닫이, 서안 등 집안에서 사용하던 생활도구들과 그것들을 장식하고 있는 다양한 복에 관련한 문양을 소개
? 3부 화-그리다.
- 묘국도, 호작도 등 그림 속에 담긴 복의 의미과 상징을 소개
? 4부 현대의 복
- 현대 안동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식 속에 복에 대한 의미와 소망을 영상으로 소개
2014-09-22 10:50:49 /
피현진 기자(mycart@ugn.kr)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