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주일에 실천 할 농작업
1. 벼 농 사
가. 상토 준비
○ 육묘에 필요한 볍씨, 육묘 상자, 상토, 소독 약제 등의 자재를 미리 준비하여 적기에 못자리가 설치되도록 하고,
○ 상토의 량은 1상자에 중모 산파는 5리터, 중모 조파는 2.5리터, 어린 모는 3리터가 필요하므로 산도 4.5~5.5 정도의 산흙이나 논흙을 파종 1개월 전에 채토하여 조제하고 모잘록병?뜸모 예방을 위해서 파종하기 전에 반드시 적용 약제로 상토를 소독하도록 한다.
○ 팽연왕겨나 부숙 팽연왕겨로 상토를 제조할 때는 왕겨 60%에 시판상토를 40% 섞어 만드는 것이 좋고 팽연왕겨는 산도가 높아 잘록병이 우려되므로 반드시 산도를 교정하여 사용한다.
○ 시판상토를 구입할 때는 피해 발생에 대비하여 보상 규정을 포함하여 계약토록 하고 새로운 시판 상토를 구입하였을 때는 미리 시험을 해보아 상토에 의한 피해 발생을 방지토록 한다.
나. 논토양 관리
○ 갈이 흙 층이 얕은 보통논, 미숙논은 퇴구비를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실시하여 벼 뿌리가 잘 내리도록 한다.
○ 객토를 한 논은 흙을 고루잘 편 후에 논갈이를 실시하여야 하며, 퇴구비 등 유기물과 규산질비료를 넣어 객토효과를 높여 준다.
○ 규산질비료는 병해충, 냉해, 도복 등 재해상습지를 중심으로 가능한 일찍 뿌려 주도록 하여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도록 한다.
○ 퇴비와 유기물은 운반과 동시에 고루 펴 주어 거름기가 몰리지 않도록 하고, 특히 유기물을 사용한 논은 밑거름 주는양을 조절하여 병해충 발생과 쓰러짐을 예방토록 한다.
○ 이앙기를 점검하여 고장난 부분은 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하는 농기계 순회수리 교육 시 또는 인근 농기계 수리 센터에서 미리 고치도록 한다.
2. 밭 작 물
가. 시설 감자?고구마
○ 싹틔움 상에서 육묘하고 있는 감자의 아주심기는 싹의 길이가 3~5㎝ 되었을 때가 알맞으며 남부 지방은 3월 중순까지 마치도록 하고,
○ 감자를 아주심기 할 때는 묘 채취 1일 또는 2~3시간 전에 육묘상에 물을 충분히 주어 채취할 때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한다.
○ 고구마 육묘상은 본 밭 10a에 7~10㎡(2~3평) 기준으로 설치하면 알맞고 씨고구마는 70~100㎏이 필요하며,
○ 씨고구마는 묘상의 온도가 충분히 오른 후에 눈이 많이 달린 등 쪽이 위로 가도록 묻고 싹이 나오기 전에는 30~33℃의 온도를 유지해 주며 묘상이 마르지 않을 정도로 물관리를 한다.
나. 보 리
○ 봄철 많은 비로 습해가 우려되는 지역이나 못자리 할 논 주변의 논보리는 물 빠짐이 좋도록 배수 작업을 겸하여 흙넣기를 해주고,
○ 습해로 황화 현상이 나타난 보리밭은 물빼기를 해주면서 조기 회복을 위하여 요소 엽면시비를 2~3회 실시 해주고, 심한 동해나 늦추위로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웃거름으로 유안 비료를 10a당 13~17㎏을 주도록 한다.
3. 채 소
가. 고 추
○ 육묘상은 모가 자람에 따라 알맞은 온도(낮 25~28℃, 밤 15~18℃ 정도)를 유지시켜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30℃이상 온도가 올라갈 경우는 환기를 실시한다.
○ 모판의 온도와 습도가 높고 밀식되거나 질소질비료가 많으면 웃자라고, 15℃이하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으면 잘록병 발생이 많아지므로 환경 관리에 유의하고 옮겨심기는 본 잎 3~4매 때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여 튼튼한 모를 생산하도록 관리하고,
○ 묘상에 물을 줄 때는 물을 미리 받아 두었다가 미지근한 상태가 되었을 때 가능한 오전에 주도록 하고, 모판흙이 말랐을 때 육묘상 밑까지 스며들도록 충분한 양을 주도록 한다.
나. 마늘?양파
○ 비닐 피복재배한 한지형 마늘은 키가 10~15㎝ 정도 되었을 때 비닐 밖으로 꺼내 주도록 하고,
○ 비닐을 씌운 포장의 웃거름은 10a당 한지형 마늘은 요소 6㎏, 황산가리 3㎏을 양파는 10a당 요소 8㎏, 황산가리 4㎏ 정도를 10일 간격으로 4~5회 비닐 위에 비오기 직전이나 잎과 줄기에 물기가 없을 때 뿌려 준다.
○ 난지형 마늘 및 조생양파는 생육이 부족한 포장만 거름을 1~2회 주되 3월 하순까지 거름주기를 마치고 너무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고,.
○ 흑색썩음균핵병은 지상부가 노랗게 마르고 생육이 위축되며 포장의 군데군데 발생하여 점차 주위로 확산되고 심하면 밭 전체가 고사하는 병으로
발병한 포기는 발견 즉시 뽑아서 없애 준다.
다. 시설 채소
○ 비닐하우스의 보온용 피복물을 아침 일찍 걷어 작물이 오전 햇빛을 충분히 받도록 해주고, 낮에는 시설 내부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 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하고,
○ 밤에는 변온관리와 보온자재를 최대한 활용하여 난방비를 최대한 줄이고 봄철에 자주 나타나는 저온이나 강풍에 대비하여 하우스 고정 끈을 튼튼하게 설치하여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저온시 보온에 유의하여 저온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물주기는 가급적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오전 중에 실시하여 하우스 내부의 과습을 막고 지온이 유지되도록 한다.
4. 과 수
○ 전정을 마친 사과, 배, 복숭아는 병원균과 해충이 많이 숨어 있는 거친 껍질을 벗긴 후 기계유유제(0.8~1ℓ/물20ℓ)를 뿌려 월동 해충을 방제하되 다른 농약과 혼용하지 않도록 하고,
○ 나무의 거친 껍질을 벗길 때는 상처가 나지 않도록 무리하게 깎아 내지 않도록 한다.
○ 전정한 가지를 과수원에 쌓아 두면 병해충의 전염원이 되므로 태우거나 분쇄하여 땅에 뿌려 주거나 퇴비로 이용한다.
5. 화 훼
가. 안개초
○ 중산간 지대에서 여름철에 안개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3월중에 아주심기를 하고, 표고가 300m 정도 되는 지역에서 안개초를 가온하지 않고 2년 연속 재배를 할 때는 일찍 아주 심는 시기하는 것이 1년 차 수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가능한 빨리 심도록 한다.
○ 안개초를 시설 재배할 때 밑거름 주는 기준량은 10a당 퇴비 3톤 정도와 질소 12㎏ 인산 20㎏ 칼리 18㎏이므로 알맞은 량을 주도록 하고,
○ 아주심기 할 때 두둑은 50㎝ 넓이로 만들고 줄 사이 40㎝, 포기 사이는 30㎝로 하여 한 두둑에 두 줄로 심는 것이 좋다.
나. 선인장
○ 비모란 등 수출용 선인장 하우스의 온도 관리는 최저 온도가 10~15℃ 정도에서 생육이 늦어지거나 뿌리가 나오지 않게 되므로 온도 관리에 주의하도록 하고, 선인장은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물은 맑은 날 오전 중에 가볍게 주도록 하여 저녁때에는 약간 건조하게 관리 하는 것이 좋다.
6. 버섯, 약초 재배
가. 버섯
○ 느타리버섯 균상에 백색 유공비닐(㎡당 유공 25개, 유공 직경 10㎝)을 피복하여 재배하면 균사 활력이 유지되고 병해 예방 효과가 있고, 다발 형성이 잘되며 수확기간이 단축되는 잇점이 있으므로 두루 활용하도록 한다.
○ 느타리버섯 봄 재배를 하려는 농가는 볏짚과 폐면의 수분이 65~70% 내외가 되도록 수분 조절 작업을 하고, 입상 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배지 온도 60~65℃에서 10~12시간 정도 살균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 살균 작업이 끝나면 배지 내의 온도를 50~55℃로 내려 2~3일간 유지 하여 발효시킨 후 20~25℃에서 3.3㎡(1평)당 10~12병의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를 배양한다.
○ 종균 접종 후 1주일간은 20~23℃로 관리하다가 점차 온도를 높여 25~27℃로 유지하여 균사를 생장시킨다.
나. 약초
○ 당귀, 강활, 더덕, 시호 등 3월중에 파종할 약용 작물은 우량 종묘를 준비하여 적기에 심도록 한다.
7. 축 산
가. 가축 사양 관리
○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축사 주위의 축대나 창고 등이 무너질 위험이 있으므로 점검하고 겨우내 지저분해진 축사 내외를 깨끗이 치운 후 소독하도록 하고,
○ 송아지 사육 시설은 습하지 않도록 건조한 깔 짚을 자주 갈아주고 햇빛이 최대한 들어올 수 있도록 해주며 꽃샘추위에 대비하여 보온 시설을 점검하도록 한다.
○ 보온을 위해 설치한 비닐?보온 덮개는 온도가 많이 올라갈 때는 알맞게 열어 주어 환기를 시키고, 겨울철에 급여하던 임신돈 사료는 적정 체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료의 급여 기준량을 낮추도록 하고,
○ 외부 기온이 많이 올라가는 낮에는 닭장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주고 해가 지기 전에 창문을 닫아 일교차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나. 초지·사료작물 관리
○ 초지에 웃거름을 주지 못한 농가는 10a당 질소 5㎏, 인산 10㎏, 칼리 10㎏을 주어 영양 생장을 촉진 시켜 생산량을 늘리도록 한다.
○ 호맥,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 월동 사료작물은 생육 촉진을 위하여 적기에 웃거름을 주어 생산량을 늘리도록 한다.
○ 봄에 파종하는 유채나 귀리(연맥) 등은 3월 하순경까지 뿌리되 일찍 뿌릴수록 수량이 많으므로 파종 적기가 지나가고 있는 남부 지방에서는 서둘러 뿌리도록 한다.
다. 가축 위생관리
○ 구제역 등 가축질병 예방을 위하여 매주 수요일에 급수기와 축사를 깨끗이 청소하고 소독을 실시하며 항상 차단 방역을 철저히 하고,
○ 조류인플루엔자의 예방을 위하여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 일교차가 커지면서 송아지 설사와 호흡기 질병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송아지 우리에 마른 볏짚을 잘 깔아 주고 밤에는 보온등을 이용 보온하여 준다.
○ 최근 돼지 유행성설사와 전염성위장염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철저한 소독과 차단방역 및 적기에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한다.
○ 뉴캣슬병 등 조류질병 예방을 위해 접종시기, 접종방법 등 프로그램에 의한 정확한 예방접종과 철저한 소독을 실시하고 적절한 보온과 환기를 실시하도록 한다.
○ 가축분뇨 처리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정비하여 분뇨의 발효가 잘 되도록 하고 분뇨를 액비화하여 사용하는 경우 충분하게 발효?부숙시켜 불량 액비 살포로 인한 오염이나 작물 피해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