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독립운동가] '안공근(安恭根)선생'

"한인애국단을 이끈 중심인물"
2008-07-01 오전 11:04:53 UGN 경북뉴스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 촉성회를 결성하고, 김 구 선생과 함께 한인애국단을 조직해 일제 요인 및 친일파를 암살하고, 한인군관학교를 설치하여 독립군을 양성하는 등 1920~1930년대 무장투쟁에 앞장선 안공근 선생의 공훈을 기리고자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1889년 7월 황해도 신천군에서 안태훈 진사와 조씨 사이에서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독립운동사의 큰 인물인 친형 안중근(1879~1910), 안정근(1884~1949)과 함께 성장하였고, 경성사범학교를 졸업 후 진남포 공립보통학교에서 아동들을 가르치다 안중근 의거 직후에 망명을 선택하게 된다.

1910년 러시아로 망명한 선생은 형 안중근 의사의 뜻에 따라 러시아어를 배웠고 1921년 7월 임시정부 최초의 러시아대사가 되어 독립자금 확보를 위해 외교를 벌였으며, 상해 교민단, 독립운동 촉성회, 한국독립당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선생은 1931년 김구선생과 함께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듬해 ‘이봉창의거’와 ‘윤봉길의거’를 이루어 냈고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내에 설치된 한인특별반 및 후신인 한국특무대독립군의 운영을 맡아 활동하던 중 1939년 5월 30일 장렬히 생애를 마감했다.

선생의 항일정신을 기려 정부에서는 1995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자료 제공 : 안동국가보훈청》

 

© UGN경북뉴스 & ugn.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투고 (1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