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21-01-22 16:26:19
안동시의회 원포인트 임시회 개최
중부내륙선 신설 및 대구·경북 행정통합 중단 촉구
 

안동시의회는 22일 경북북부 내륙권 철도망 신설 촉구와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원포인트' 임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임시회에서 의원들은 국토교통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문경~도청~안동 간 철도노선 신설을 반영하라는 촉구 건의문과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중단 제3차 촉구건의안을 채택했다.

"문경~도청~안동 간 철도노선 신설은 안동시가 2016년 제3차 계획 당시부터 국토부에 꾸준히 요청해 왔던 역점 사업으로, 문경~도청~안동 간 54.5㎞ 구간 단선전철 신설에 드는 비용만 7,279억 원에 달한다.

시의회는 촉구건의안에서 "경상북도 북부지역은 일부 광역도 보다도 더 큰 면적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안동시의 면적은 서울시의 2.5배나 되지만 철도를 비롯한 교통망은 가장 낙후되어 있어 내륙의 오지로 불리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정책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경북북부 내륙 철도망(경북 문경~도청~안동)'노선 신설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어 "국가철도망이 X자형(중앙선과 중부내륙선)으로 연결될 경우 옛날 안동역이 가졌던 ▲여객수송(중부내륙선) ▲화물수송(중앙선) ▲철도 요충지(노선별 교차)라는 국가철도망의 중요 기능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고 관광자원 활용 극대화뿐 만 아니라 물류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국가균형발전을 통한 제2의 성장을 견인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번째로 시의회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 중단 제3차 촉구건의안도 함께 채택했다.

시의회 촉구안을 통해 "광역 자치단체장이 결정하면 시·도민이 무조건 따라야 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대구광역시장과 경상북도지사는 행정통합을 결사반대하는 수많은 시·도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책 의사결정에 앞서 구성원들과의 사회적 합의가 우선되어야 한다. 시·도민의 의견을 무시한 일방적 행정통합 추진 행태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위배한 명백한 불법행정."이라며 "중앙정부로부터 권한의 이양을 요구하면서, 정작 시·군 자치단체의 요구는 철저히 무시하는 모순적 태도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분노했다.

그러면서 "지방소멸의 벼랑 끝에 선 대구와 경북은 현재 행정통합 논의가 아닌 공동의 생존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때."라며 "대구광역시장과 경상북지사는 정치적 욕심을 위한 독선과 아집을 버리고, 시·도민의 간곡한 호소와 역사의 준엄한 명령을 외면하지 말라."고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의 즉각적인 중단과 공론화위원회의 해체를 강력 촉구했다.

이에 앞서 안동시의회는 앞서 지난해 10월과 11월에도 대구·경북 행정통합 재검토를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해 행정안전부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등에 제출한 바 있다.

한편, 안동시의회 의원 16명이 공동 발의한 '경북 문경~도청~안동 철도노선 신설 촉구건의안'은 이날 임시회 의결을 거쳐 청와대, 국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에 전달될 예정이다.

  2021-01-22 16:26:19 / UGN 경북뉴스(ugnews@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동시 신규농업인 영농정착 기술 교육생 모집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 간 총 10회 교육 실시 (사)한국나눔연맹 라면 500박스 전달 어려운 이웃 먹거리 지원 위해 나눔 실천 안동시의회 원포인트 임시회 개최 중부내륙선 신설 및 대구·경북 행정통합 중단 촉구 생활개선회 경북연합회장 선거, 규정 무시 불공정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인명부 열람 및 교부 거부 안동소방서 전 직원 코로나19 선제검사 소방공무원 업무특성 고려···검사 결과 모두 음성

대안당 안경·보석
♣금·은·보석·시계·안경의 집♣
경북 안동시 남문동 222 TEL. 054)855-0462, H.P. 010-4217-0462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40659 38988836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