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벼 농 사 가. 본 논 관리 * 벼는 이삭생기는 시기부터 팰 때까지가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물 관리를 잘하고 완전물떼기 할 때까지는 물 걸러대기를 계속 실시하도록 한다. - 이삭 패기 15일전~이삭 팬 후 10일까지는 물을 6~7cm 깊게 대주기 - 이삭 익는 시기에는 물을 2~3cm로 얕게 대거나 물걸러대기 * 집중호우로 논둑이 무너진 논은 보수하거나 임시로 갈개를 만들어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한다. * 또한 논두렁, 배수로에 난 풀은 수시로 베어 주어 잡초의 씨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준다.
나. 병해충 방제 * 거름기가 많아 잎 색이 짙은 논이나 도열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한 논 등 도열병 발생이 우려되거나 이미 병이 발생된 필지는 서둘러 방제토록 한다. * 조생종은 이삭 패는 시기로 방제를 소홀히 하면 이삭도열병으로 번질 우려가 있으므로 적용약제로 제때에 방제하도록 한다. * 이삭 도열병을 침투성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로 방제할 때는 1회 방제토록 하고 일반유제, 분제, 수화제를 사용할 경우 1차 이삭 패기 시작할 때(필지 당 벼이삭이 2~3개보일 때) 뿌리도록 하고 5~7일 후 2차 방제한다. * 고온 다습한 환경이 계속되면 잎집무늬마름병이 빠른 속도로 번지게 되므로 조생종은 이삭 도열병과 동시에 방제하고 중·만생종은 발생 정도에 따라 이삭 패기 전에 방제토록 한다. * 중국 현지 예찰포 조사 결과 중국 남부지방에서 비래해충 발생량이 많아 저기압 통과시 비래해충이 많이 날아와 증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논을 잘 살펴보고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하도록 한다.
②. 밭 농 사 * 논에 심은 콩 등 밭작물은 비가 많이 내려 배수가 잘 되지 않는 포장은 배수구를 정비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콩밭에 노린재가 많이 발생하면 품질과 수량이 많이 떨어지게 되므로 꼬투리가 생기고 콩알이 크는 시기에 적용약제를 뿌려 피해를 방지한다. * 참깨는 비바람에 대비하여 줄 지주를 설치해 주고, 쓰러진 포기는 바로 일으켜 세우며, 노출된 뿌리는 흙으로 덮어 주도록 한다. * 비닐을 덮어서 재배한 참깨, 땅콩은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잘 덮어 주도록 한다. * 여름철에 발생하기 쉬운 참깨의 돌림병, 시들음병, 잎마름병은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동시에 예방 위주로 방제하되 반드시 농약혼용가부표를 지키도록 한다.
③. 채 소 가. 고 추 * 역병에 걸린 포기는 가능한 일찍 뽑아 없애고 적용약제를 관주하여 건전한 포기로 확산되는 것을 막도록 한다. * 침수가 되었거나 과습한 포장에서는 역병, 탄저병 등의 병해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토록 한다. * 총채벌레에 의한 바이러스와 기형과 발생 및 품질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토록 한다. * 날씨가 무더워지면 탄저병과 담배나방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 붉은 고추는 진홍색으로 되었을 때 수확하여 다음에 열리는 고추가 잘 자라도록 해 주고 웃거름은 35~40일 간격으로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한다. * 수확한 붉은 고추는 건조기의 온도를 알맞게 하여 품질 좋은 고추를 생산하도록 한다. * 장마기간 중에 붉은 고추를 건조할 때는 건조기를 이용하면 희나리도 적고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나. 수박?참외 * 토양수분이 너무 많으면 뿌리의 기능이 약해지게 되므로 물 빠짐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배수로를 잘 정비해 준다. * 세력이 너무 강하여 웃자라게 되면 통풍이 불량해 병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알맞은 초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 비가 자주 내린 뒤에는 덩굴마름병, 탄저병, 역병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예방 위주로 적용 약제를 뿌려 주도록 한다. * 온도가 높고 햇볕이 강하면 수박 열매가 피해를 받게 되므로 수박잎, 신문지 등으로 덮어 주도록 한다.
④. 과 수 가. 과수원 관리 * 금년도는 마른장마로 전년보다 강수량은 적어 일부에서는 가뭄 피해가 우려되니, 10a당 사질토양은 4일 간격으로 20톤, 양토는 7일 간격으로 30톤, 점질토양은 9일 간격으로 35톤을 관수하도록 한다. * 또한 온도가 31℃ 이상 일 때에는 과실의 호흡이 증대되어 과실 비대가 잘 되지 않고, 햇빛에 의한 데임 피해가 우려되니 미세살수 장치가 갖춰진 과원에서는 대기온도가 31±1℃일 때 물을 뿌리는데 자동조절장치에 의해 5분간 뿌리고 1분간 멈추도록 설정하여 잎과 과실의 온도 상승을 막아주면 과실 비대와 일소발생이 감소한다. * 웃자란 가지는 나무 안쪽까지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고 약제살포시 고루 묻도록 웃자란 가지를 정리한다. * 사과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반점낙역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무늬병,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과실, 잎, 새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고 병반이 보이면 적용 약제를 충분히 뿌려 주도록 한다. * 점박이응애는 수관 내부의 잎에 60% 정도의 잎에서 발견되면 방제하는데, 장마기간 중에 발생이 급증할 수 있으므로 수관 내부와 수관 상단을 관찰하여 적기에 방제한다.
나. 과실 수확 * 자두, 복숭아 등은 서늘할 때 익은 과실만 따도록 하고 복숭아는 눌리거나 부딪치면 과실이 쉽게 물러지므로 취급에 주의하도록 한다. * 비를 맞은 직후에 과실을 수확하게 되면 당도가 낮아져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비가 그친 후 2~3일 지나서 수확을 하도록 한다. * 수확한 과실은 서늘한 곳에서 규격별로 선별한 뒤 포장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
⑤. 버섯, 약초 가. 느타리버섯 재배 * 재배가 끝난 느타리버섯 재배사는 포르말린이나 스팀수증기를 이용하여 배지소독과 살균작업을 철저히 하도록 하고, 재배사 주변에도 살균제나 살충제를 뿌려주어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 재배사가 밀집된 곳에서는 병해충을 예방하더라도 인근 재배사에서 병원균이 쉽게 이동되어 예방효과가 떨어지므로 가급적 공동소독으로 소독효과를 높인다. * 느타리버섯 가을재배 시기가 다가오므로 볏짚이나 폐면 등 우량배지와 종균 등 자재를 미리 확보하여 재배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나. 약초밭관리 * 아직까지 웃거름을 주지 못한 약초밭은 서둘러 주도록 하고, 풀이 많은 포장은 흙넣기를 겸하여 김매기를 해주도록 한다. * 인삼 및 약초류에 병해충이 발생하면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적기에 방제토록 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한약재가 생산되도록 한다.
⑥. 축 산 가. 가축사양관리 * 사료 보관창고는 습도와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배합사료를 너무 많이 쌓게 되면 상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1주일 정도의 소요량을 구입하도록 한다. * 무더운 날씨에는 어미돼지가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해야 하므로 물 꼭지(니플)의 물 나오는 양을 수시로 점검한다. * 여름철은 닭 사육밀도에 따라 고기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환기를 철저히 해주면서 사육하는 마리당 면적을 10~20% 정도 넓혀 사육하도록 한다.
나. 초지·사료작물 관리 * 방목은 아침, 저녁으로 실시하되 목초의 고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목초의 길이가 10~20㎝ 정도 유지되도록 방목 강도를 조절한다. * 초지를 신규로 조성할 대상지는 잡초약을 미리 뿌려 잡목, 산야초 등 장애물 제거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여름철 잦은 비로 쓰러진 옥수수와 수수류는 가능한 빨리 베어서 품질저하와 수량감소를 방지하도록 한다.
다. 가축질병 예방 * 장마기간 중에 축사는 충분한 통풍환기를 시키고, 분뇨를 제거하여 적정습도를 유지하고, 유해가스를 줄여 주어야 한다. * 축사를 소독할 때는 소독약의 효력 작용시간(10~30분), 희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비가 오기 이전에 소독을 완료한다. 비가 올 때에는 축사 내부를 중점적으로 소독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축사 안팎과 분뇨처리장 주변소독을 실시하도록 한다. * 고온에 의한 가축의 기립불능증, 열사병 예방을 위하여 선풍기를 이용 바람을 불어주거나 머리 등에 시원한 물을 뿌려주어 체온을 내려주고, 축사에는 햇빛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그늘막이나 환풍기 등을 설치하여 온도를 내려주도록 한다. * 모기, 파리 등 유해 곤충에 의한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게 되므로 축사 주변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모기퇴치전구, 살충등 등을 이용하여 가축에 접근을 막도록 한다. * 돈열 방지를 위하여 축사안팎을 소독하고, 평상시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 소 브루셀라병, 결핵병 및 광견병의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축사 내?외부를 소독한다. *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 질병발생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백신을 접종한다. * 가축분뇨 퇴비장은 적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 저장탱크는 폭기와 교반을 잘 하여 완전히 부숙 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
2008-07-18 09:36:07 /
농업기술센터(lyd1237@hanmail.net)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