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22-10-18 16:47:40
김형동 의원, '경북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신설 촉구
경북, 장애인 취업자 수·15세 이상 장애인 수 전국 4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형동 의원은 10월 17일,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경북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를 도청신도시 인근에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3조(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와 제19조(취업 후 적응지도), 동법 시행령 제20조(취업 후 적응지도 지원)에 따라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총 6개소에 운영 중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취업자 수는 경북(62,862명)이 서울(111,763명), 경기(194,897명), 충남(67,770명)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수 또한, 경북(178,319명)은 서울(385,485명), 경기(554,220명), 경남(184,696명)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 지역의 15세 이상 장애인 고용률은 35.3%로 전국 평균 34.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북 북부에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가 없어 경북에 거주하는 장애인 근로자는 100km 넘게 떨어진 대구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로 가야하는 실정이다.

특히 울진의 경우, 대구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까지 230km(2시간 40분 소요)나 이동해야 하는 등 지리적 접근성이 열악하여 경북 북부지역의 장애인 근로자 다수가 고충 및 심리상담, 법률 자문, 각종 교육 이수와 애로사항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김형동 의원은 "경북에 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가 없어, 경북 장애인 근로자가 맞춤형 장애인근로자지원 프로그램을 제대로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지역별 사업체 수와 장애인 취업자 수, 그리고 연령별 장애인 현황과 장애인 근로자의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한다면, 도청신도시 인근에 경북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신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조향현 이사장은 "지방에 공단 지사 설치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2022-10-18 16:47:40 / 김태동 기자(tdongk@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풍천풍서초, '22회 전국 불조심 어린이마당' 안전 인재상 18개 시·도 최우수 수상 학급 중 경북대표로 참가 공동 3위 경북콘진원 제작지원 'K-콘텐츠의 원류를 찾아서' 10월 23일 SBS, 10월 30일 안동MBC 각각 방영 김형동 의원, '경북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신설 촉구 경북, 장애인 취업자 수·15세 이상 장애인 수 전국 4위 권광택 도의원, '안동댐 환경보전지역 해제' 촉구 낙동강 권역 수계관리기금 제한 개선도 병행돼야 바르게살기운동 안동시협의회 2022 회원단합 수련대회 개최

삼성보석,·´˝"`˚³οΟ☆
좋은금。좋은집。보석。금。은。시계.οΟ☆
☎ 문의전화 : 054-854-3777 / 841- 7177
경북 안동시 남문동 723-7번지(참앤시저축은행앞)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54923 39159995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