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23-06-12 16:29:00
한글의 예술성을 꽃피울 톡톡 튀는 아이디어 공모
한국국학진흥원, '한글활용 디자인공모전' 개최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경북이 자랑하는 옛한글 문화를 활용하고 전국 유일의 훈민정음 해례본 발굴지로서 경북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제2회 한글활용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으로 나눠 공모하며 8월 7일(월)~11(금)까지 접수한다.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자원 '한글'

경북은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굴된 유일한 지역이자, 옛한글 문화가 다채롭게 꽃폈던 곳이다. 경북을 중심으로 끊이지 않고 전승되어 온 '내방가사'는 2022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에 등재될 만큼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유교책판 등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편액, 내방가사 등 다수의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을 소장하고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은 그간 민간에 산재해 있던 옛한글 문헌을 경북의 여러 문중으로부터 기탁받아 최첨단 수장시설에 보관하고 최신 보존기법으로 관리해왔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글 자료는 현재 8,000여 건으로 매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옛한글 자료를 다수 소장한 한국국학진흥원은 전국 유일의 훈민정음 해례본 발굴지인 한글 본향으로서 경북의 위상을 높이고, 한글이 지닌 산업적 가치를 발굴하고자 '한글활용 디자인공모전'을 기획했다. '한글활용 디자인공모전'은 한글을 산업디자인에 접목해 다양한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한글의 예술성, 실용성, 독창성을 현대에 되살리고 산업자원의 측면에서 한글이 지닌 무궁한 가능성을 국민과 함께 찾겠다는 시도이다. 한글을 문자나 글자로 국한하지 않고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자원'이자 '산업디자인'으로 조명하겠다는 게 공모전의 핵심 취지이다.

'아이디어'만으로 응모 가능

한국국학진흥원은 공모전 문턱을 낮추고자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으로 나눠 공모한다. '아이디어 부문'은 시제품 없이 제품의 예상 이미지만으로 응모할 수 있다. '아이디어 부문'은 톡톡 튀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녔으나, 현실적 제약 때문에 시제품을 제작하지 못했던 대학생, 대학원생이 응모할 수 있다. 또 '완제품 부문'은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 자료를 대상으로 예심을 진행하고, 본심에서 실물을 심사한다.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 모두 8월 7일(월)~11(금)까지 접수한다.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 모두 신청서, 이미지 파일 3장을 제출하며, '완제품 부문'은 예심을 통과한 응모자에 한해서 실물을 접수한다. 심사는 한글의 예술성과 독창성을 활용한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경제적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상품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 수상작은 한글날을 기념하는 경북 한글 주간에 도청사에서 전시한다.

총상금은 2,900만원(완제품 부문: 2,350만원, 아이디어 부문: 550만원)이다. '완제품 부문'은 대상(경북도지사상)을 비롯해 금상·은상·동상·장려상 등 15점을 선정하며, '아이디어 부문'은 금상·은상·동상 등 6점을 선정한다.

접수는 이메일(hangul.koreastudy@gmail.com)로 받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공고문을 참조하면 된다.

    <'제1회 한글활용 디자인 공모전' 공모작>

 ▲ 완제품 부문 대상 '한글 자음 초콜릿'

 ▲ 완제품 부문 금상 '한글을 담은 보석함'

 ▲완제품 부문 금상 '한글 책갈피 세트'

 ▲ 완제품 부문 은상 '세종대왕 한글 자음 블록'

 ▲ 아이디어 부문 '한글 엄지피아노'

 ▲ 아이디어 부문 '지음 식기 세트'

 

 

  2023-06-12 16:29:00 / UGN경북뉴스(ugnews@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동시의회, 최초로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구성 안동시농수산물도매시장 운영에 관한 행정사무조사 안동시의회 김정림 의원 5분 발언 전기차 충전시설 안정성 확보 촉구 한글의 예술성을 꽃피울 톡톡 튀는 아이디어 공모 한국국학진흥원, '한글활용 디자인공모전' 개최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KOLAS 인정 획득 헴프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 신뢰성 기반 확보 안동시, 관광 벤치마킹 국내외 '광폭 행보' 일본·방콕 및 춘천·세종·완주·밀양 등 방문

안동대가찜닭
♣전국배달가능 / 기술전수♣
경북 안동시 서부동 182-6번지☎054)856-7888, 010-2063-7880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95655 39153449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