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UGN 경북뉴스 > 안동인터넷뉴스 > 투데이 안동 [인쇄] [글자-] [글자+]
 
기사 작성일시 - 2011-02-10 10:57:58
안동시 수련도시 이미지로 안동명성 되찾기 총력
각계각층 연수 등 잇따라 열려 전통문화의 힘 과시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기업체 교육연수 유치 활발
 

지난 설 연휴 안동을 찾은 관광인파가 지난해보다 약간 늘어간 가운데 침체된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해 안동시가 기업연수나 워크숍 등을 적극 유치해 안동방문객 수를 늘이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동시에 따르면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등 안동의 전통문화체험 연수기관에 각계각층의 연수가 잇따라 열리면서 구제역으로 인한 안동의 나쁜 이미지 개선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의 경우 지난 2010년 167차례에 걸쳐 1만2천312명이 다녀갔으며, 2011년에는 200차례에 1만3천명의 수련생 유치를 목표로 기업체 연수를 추진하고 있다.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는 이미 한국정책금융공사 신입사원 30명은 교육을 마쳤고 코리안리재보험 신입사원 23명은 2월 9일부터 2박 3일간이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2월 10일에는 국방부 법무담당관실 법무관 소속 육군, 공군, 해군 45명이 1박2일간 일정으로 선비문화체험 연수에 참여한다.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광옥 부원장은 "코리안리 재보험에서는 2009년부터 매년 신입사원 연수과정으로 선비문화수련원을 찾고 있으며 한국정책금융공사를 비롯해 KT, IBK기업은행, 삼성중공업 등 기업체 연수가 늘어나고 있다."며 "지난해에는 기업체에서만 40차례에 걸쳐 2천43명이 연수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안동시 관계자는 "전국 각지의 기업체 임직원과 학교 선생님들, 공무원, 학생, 학부모 등 년 간 1만 명이 다녀간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을 비롯해 안동독립운동기념관, 한국국학진흥원, 안동예절학교 등 교육연수기관을 적극 활용해 안동의 전통문화를 알려나갈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교육을 마친 연수생들이 지난해 5만6천명이상이 다녀간 고택과 세계문화유산 하회마을, 도산서원 등 주요관광지를 다시 찾을 수 있도록 안동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국학진흥원을 비롯해 선비문화, 독립운동, 예절교육 등 정신문화체험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수련도시인 안동은 년 간 53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지난해의 경우 안동의 교육연수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에 3만8천379명,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 2만9천490명, 안동예절학교 5천700명,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 1만2천312명이 당일 혹은 1박 2일 등의 일정으로 연수를 다녀갔다.

한편, 안동은 지난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회마을을 비롯해 도산서원, 봉정사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유적과 자연경관을 자랑하고 있으며, 고택체험 등 전통문화 체험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2011-02-10 10:57:58 / 피현진 기자(mycart@ugn.kr)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동시보건소 구제역 피해주민을 위한 이동보건소 운영 '수출 농업만이 우리 농촌의 꿈을 펼쳐갈 수 있다!' 안동시 농·특산물 수출 목표 지난해보다 24% 높여 안동시 수련도시 이미지로 안동명성 되찾기 총력 각계각층 연수 등 잇따라 열려 전통문화의 힘 과시 안동시 세계 유교문화 거점도시로 거듭난다! 오는 2018년까지 3대 문화권사업에 5,124억 투입 경상북도 '나들가게 지원사업' 참여업체 모집 1월 18일부터 2월 28일까지 소상공인 지원센터

안동대가찜닭
♣전국배달가능 / 기술전수♣
경북 안동시 서부동 182-6번지☎054)856-7888, 010-2063-7880
영주장날
안동암산마을
지우리 전통테마마을

회사소개 | 후원하기 | 기사제보 | 취재신청 | 기자회원신청 | 광고문의 | 사이트맵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우)760-120 안동시 북문동 27-2번지 3층 | 제보 및 각종문의 054-843-5111(代) | 발행인 권오형 | 편집인 김태동 | 청소년보호책임자 권오형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번호 : 경북 제1347호 | 정기간행물 사업자등록증 번호 : 경북 아 00003호(등록일 2005. 09. 01) | 팩스 054-855-0500
Copyright ⓒ 2005 경북뉴스서비스. All rights reserved. e-mail: ugnews@ugn.kr
49001 39159403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