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부터 서부초, 경안중 등 안동시내 초등 8개, 중등 5개학교가 주5일수업을 실시한다.
경상북도교육청(교육감 이영우)에서는 내년부터 모든 초·중·고교에서 주5일수업제 전면 실시를 위해 금년 2학기부터 전면 주5일수업제 시범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한다.
이에 따라 8월10일 시범학교 교감과 23개 지역교육청 담당자를 대상으로 경상북도학생문화회관에서 '주5일수업제' 안정적 정착을 위한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여기서 '주5일수업제 시행 대비 기본계획'과 '주5일수업제 선도학교 운영 추진 계획'을 전달하고, 주5일수업제 수업일수와 수업시수 확보 방안에 대한 사례 발표와 토요휴무일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 방안에 대한 사례발표를 하였다.
따라서 초·중·고에서는 내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주5일수업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보완 및 탄력적 운영', '다양한 주말 대체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 토요교육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학생생활 안전망 구축'등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담당과장은 '주5일수업제'에 대한 학부모 홍보,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델 개발, 소외계층 자녀 돌봄 서비스 제공 및 토요방과후 프로그램 개설, 토요일 학생 안전망 구축 등 시범학교의 업무 추진 사항을 당부하였다.
경북지역에서 초등학교 105개교와 중학교 51개교가 시범학교로 선정된 가운데 안동지역에서 2학기부터 주5일수업을 실시하는 시범운영 선도학교로 지정된 학교는 온혜초, 북후초, 신성초, 임동초, 안동동부초, 길안초, 안동강남초, 안동서부초의 초등 8개교와, 길안중, 풍천중, 복주여중, 경안중, 안동여중의 중등 5개교이다.
안동지역 주5일수업제 선도(시범운영)학교 명단 |
급별 |
학교명 |
설립별 |
학급수 |
학교장 |
교무실 전화 |
운영 주제 |
토요 프로그램 계획 |
프로그램 수 |
참여자수 |
초 |
온혜초 |
공 |
5 |
권혁직 |
856-1007 |
학교! 지역 문화의 중심 |
6 |
27 |
초 |
북후초 |
공 |
6 |
권순길 |
859-5008 |
새참카레(CARE) 새참스쿨-케어링-시스템(SCS) 운영을 통한 학교 만족도 제고 |
4 |
40 |
초 |
신성초 |
공 |
6 |
김규중 |
841-2066 |
활동 중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Happy 토요일 만들기 |
3 |
18 |
초 |
임동초 |
공 |
6 |
이준승 |
822-5802 |
농촌형 토요프로그램 구안 적용을 통한 주5일 수업제 정착 |
7 |
42 |
초 |
안동동부초 |
공 |
7 |
남명자 |
859-2039 |
참살이 에듀케어를 통한 주5일 수업 효율적 운영 |
4 |
65 |
초 |
길안초 |
공 |
7 |
장국수 |
822-2105 |
토요 Fun Fun 프로젝트로 보람찬 Edu-Flower 피우기 |
3 |
45 |
초 |
안동강남초 |
공 |
41 |
우영철 |
841-4104 |
수요자 중심의 즐겁고 행복한 주5일수업제 정착 |
6 |
140 |
초 |
안동서부초 |
공 |
42 |
김칠복 |
857-3851 |
신나는 토요 프로그램 학습을 통한 주5일 수업의 효율적 운영 |
6 |
150 |
중 |
길안중 |
공 |
3 |
김인한 |
822-2110 |
토요 틈새학교 운영을 통한 지역문화 UP! |
8 |
35 |
중 |
풍천중 |
공 |
3 |
권정관 |
853-2048 |
주5일 수업제 운영을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 |
2 |
59 |
중 |
복주여중 |
공 |
21 |
채희덕 |
852-2162 |
토요 틈새학교 운영을 통한 창의성 계발 |
11 |
130 |
중 |
경안중 |
사 |
22 |
오태희 |
843-4042 |
주5일 수업제 운영을 통한 교과 및 특기 적성 교육 활성화 |
5 |
100 |
중 |
안동여중 |
공 |
22 |
고준모 |
857-4052 |
주5일 수업으로 신나는 스포츠 클럽 활성화 |
20 |
200 |
2011-08-12 10:23:28 /
김태동 기자(tdongk@ugn.kr) |
|
- Copyright ⓒ UGN 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